여행준비

[여행준비-01] 여권과 비자

쁘리띠님 2010. 2. 25. 13:02

[여 권]

여권은 쉽게 말하자면 해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 '주민등록증'과 같은 신분증입니다. :)
국외에서 자신을 증명하고, 대한민국의 국민으로 보호받을 수 있는 중요한 신분증이죠.

그렇기 때문에 여행 중 가장 중요하게 보관해야할 소지품이고,
분실 시 다른 무엇보다 가장 빨리 만들어야하는 것이기도 합니다.

영국이나 유럽지역 등에서는 도난당한 한국인들의 여권을 이용해
중국인들이 밀입국하는 사례가 많아 문제가 되기도 했었고,
덕분에 다른 국민들과는 달리 -_-;; 특별히 강화된 검색을 받는 경우도 종종 있었죠.

그런 이유 때문에 정부는 전자여권을 만들고,
2010년 1월 1일부터는 양손 검지 지문을 전자여권내에 넣어 보안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.

[만드는 방법]
예전에는 국가에서 지정한 여권발급 기관에 가야지만 여권신청서식을 구할 수 있었는데,
요즘은 외교통상부의 여권민원서식 코너 에서 다운받아 작성한 후(단, 칼라프린터야함!)
해당 발급기관에서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.
 심지어 여권 접수 예약서비스 까지 만들어져 정말 편리해졌지요. :)

[여권 분실 시, 대처법 -_-]
1) 국내에서 분실한 경우 - 여권을 만든 구청같은 여권발급 기관에 신고한 후 재발급받으면 돼요~
    일정 기간 내에 너무 자주 여권을 잃어버릴 경우(제가 그런 경험이 있어서...--;;;),
    의심 리스트(여권을 팔아먹는..--;)에 오르게 되면, 경찰서에도 들러야할 경우가 있으니 주의하세요! -,.-
    저는 아슬아슬하게 기간을 넘어 경찰서에는 가지 않았지만, 무슨 조회를 해야한다더라구요. 
 
    또한, 잃어버린 후->신고했는데->여권을 집에서 찾은 경우(역시 경험담 -_-),
    여권 안에 있던 미국비자 등등 모두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. ㅠㅠ
    모두 재발급 받아야 하니 돈이 많이 들어요. ㅠㅠ  

2) 국외에서 분실한 경우 - 곧바로 한국대사관으로 가서 여권을 재발급하거나 또는
    여행기간이 얼마남지 않은 상황이라면 여행자증명서를 발급받으면 됩니다.
    대사관은 대부분 수도에 있고, 토~일은 문을 닫고, 국가에 따라 다르지만 수수료가 들고,
    국내에서 여권을 발급받는 것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됩니다. =_= 

[비 자]
비자는 우리가 방문하고자하는 나라의 정부에서 입국을 허가해주는 일종의 허가증에요. ^^

국가에 따라 비자없이 무료로 입국할 수 있는 나라도 있고,
국내 또는 제3국에서 수수료를 내고 미리 비자를 만들어가야하는 나라도 있고,
비행기가 도착했을 때 공항에서 '도착비자'를 받을 수 있는 나라 등이 있죠.

우리나라는 많은 나라와 비자면제 협정(비자없이 입국가능)을 맺고 있는데요,
세계에서 가장 좋은 비자면제 협정을 맺고 있는 나라는 뭐니뭐니해도 스위스이지만,
대한민국도 꽤나 많은 국가와 비자면제 협정을 맺고 있답니다. :) (특히, 남미!! +.+)
이에 해당하는 국가들은 이곳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.

-> 외교통상부의 비자(사증) 면제협정 체결국 보기

비자가 필요한 국가들은,,,, 
나라에 따라서 비자가 필요하기도 하니 다음을 잘 살펴보세요. ^^
아래는 2010.2.17일 기준으로 업데이트 되었으나, 변동사항이 있을 수 있으므로
해외안전여행 -> 국가별안전 정보 에서 여행하려는 나라를 선택해 비자부분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세요!

기본적으로 비자신청양식, 사진 1~3장, 여권복사본, 여권이 필요.
미리미리 준비할 것.
그리고, 나라에 따라 비자나오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도 하니 여유있게 신청하세요.


[유럽]
거의 모든 나라에서 90일(단, 포르투갈은 30일)까지 체류가 가능한데, 장기여행자들은 이걸 꼭 알아두세요~
유럽 국가 중 쉥겐국(비쉥겐국 - 리히텐슈타인, 영국, 아일랜드, 불가리아, 루마니아, 터키-이외의 유럽 국가)
은 6개월 내에 최대 90일까지만 체류가능합니다.

간혹, 여행기간이 90일이 넘으려 할 때 잠시 EU국가를 벗어났다가
다시 EU국가로 들어가
새로 90일 무비자를 받을 수 있다고 생각하기도 하는데(마치, 동남아국가들처럼), 
6개월내의 90일이기 때문에 6개월이 지나지 않는 한 유럽국가에서 90일 이상 머물 수 없으니 주의하세요! 

실제로 그 이상 머무른 사람도 있지만 합법적인 것은 아닙니다! 
잘못하면 추방될 수도 있으니 편법은 쓰지 마시길...-.-


비자면제 [쉥겐국(25개국 중 슬로베니아 제외)]
그리스, 오스트리아(외교·관용 180일), 스위스, 프랑스, 네덜란드, 벨기에, 룩셈부르크, 독일, 스페인, 몰타, 폴란드, 헝가리, 체코, 슬로바키아, 이탈리아, 라트비아, 리투아니아, (이하 180일 중 90일) 에스토니아, 핀란드, 스웨덴, 덴마크, 노르웨이, 아이슬랜드 (포르투갈은 60일에 해당)
[비쉥겐국]
리히텐슈타인, 영국, 아일랜드, 불가리아, 루마니아, 터키, 우크라이나, 사이프러스


도착비자 국가
- 알바니아 : 공항 또는 국경에서 사증을 발급(수수료 $10) 받을 수 있으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1개월간 체류 가능, 3개월까지 연장 가능 (2010.1 현재)

입국 전 반드시 비자가 필요한 유럽 국가들
러시아, 몰도바, 벨라루스, 마케도니아

러시아
비자업무 및 비자 수수료 안내 http://www.russian-embassy.org/korean/consular_02.html

[아시아]

90일 체류가능한 국가 : 태국, 싱가폴, 뉴질랜드, 말레이시아, 일본, 마카오, 브루나이
30일 체류가능한 국가 : 대만, 브루나이, 스리랑카(협정체결되어 있지 않으나 비자 부여) 
21일 체류가능한 국가 : 필리핀
15일 체류가능한 국가 : 라오스, 베트남, 괌

도착비자 국가
- 인도네시아 : 공항에서 입국심사 전 $25를 내면 7~30일까지 체류가능 
- 동티모르 : 공항에서 도착비자 $30을 내면 30일 체류가능

입국 전 반드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들
파키스탄, 방글라데시, 몽골, 중국, 인도, 미얀마
※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는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 하였으나, 
    양국에서 이제는 협정을 무시하고 한국인들을 입국거부 시키는 사례가 
    빈번하기 때문에 반드시 비자를 미리 받아서 입국해야 합니다.

중국
비자업무 안내
http://www.chinaemb.or.kr/kor/lshyw/lsk_qz/
비자 수수료 안내
http://www.chinaemb.or.kr/kor/lshyw/lsk_qz/lsk_qz_sj/t234430.htm

몽골
비자업무 및 수수료 안내
http://www.mongolembassy.com/kor/sub02_01.php

인도 
    1. 인도로 곧바로 가는 사람은 한국대사관에서 받고,
        비자 업무 안내
        http://www.ttservices.co.kr/Home/VisaApplicationForm.aspx?Cul=ko-KR
        비자수수료 안내
        http://www.ttservices.co.kr/Home/VisaFees.aspx?Cul=ko-KR
    2. 태국을 경유하는 사람은 방콕의 인도대사관에서 받을 수 있어요.
       기간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2~5일정도 소요. 방콕에서의 가격은 1000밧 안팎.
    3. 이란에서 인도비자를 받으려면 7~10일 소요. 46,000레알. 스트레스 장난아니니 다른 곳 추천.
       터키 이스탄불도 일주일 정도 걸리지만, 좀 더 저렴하고 테헤란보다 구경할 꺼리가 많으니 추천.
 


미얀마
    1. 한남동에 위치한 대사관에서 받거나 
        비자 업무 및 수수료 안내
        http://www.myanmar-embassy-seoul.com/Kr/visa.html
    2. 태국, 방콕의 미얀마 대사관에서 $30에 받을 수 있음.


[아메리카 대륙]
북미
- 미국 : 전자여권 소지자에 한해 90일 이하로 관광목적으로 입국시 비자면제.
            단, 여행 허가증을 프린트해가야하는데 등록과 프린트는 ESTA 사이트 에서 간편하게 가능. 
- 캐나다 : 6개월간 무비자

중미
대부분 30~90일 무비자로 여행이 가능해요~

90일 체류가능한 국가 : 멕시코, 엘살바도르, 과테말라, 온두라스, 니카라과, 코스타리카, 자메이카,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이티, 도미니카 연방, 바하마, 트리니다드 코바고, 파나마, 바베이도스, 그레나다

   ※ 엘살바도르, 과테말라, 온두라스, 니카라과
       4개국은 자국간의 CA-4국경협약에 의거 4개국내 여행일자의 합산이 90일까지 무비자 가능.
  ※ 온두라스 : 2005년 5월 1일부터 30일(육로입국시), 또는 공항 입국시 90일 무비자)


30일 체류가능한 국가 :
세인트 킷츠 네비스 , 안티구아 바부다,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다

입국 전 반드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
쿠바
비자는 아니지만 비자와 같은(?), 투어리스트 카드를 필요.
멕시코의 깐꾼에서 비행기 티켓을 사면 티켓안에 포함시켜 판매하고,
만약에 그냥 비행기 표만 샀다면, 공항내에서 $15를 내면 살 수 있어요.

남미
대부분 30~90일 무비자로 입국이 가능해 여행하기 편합니다.
단, 남미여행시 황열병 예방주사를 남미국가에 들어가기 10일 전 반드시 맞아야 합니다.
남미여행시 황열병 예방접종 증명서를 확인한 곳은 제 경우 한곳도 없었지만, 
브라질에서 확인했다는 여행자들을 몇몇 만났어요.

맞는 곳은 두 곳이 있는데 예약을 하셔야 해요. ^^
인천공항 검역소 (032) 740-2703, 국립의료원 (02) 2260-7092 (을지로 6가 위치)


90일 체류가능한 국가 : 
콜롬비아, 베네주엘라, 수리남, 페루, 칠레, 아르헨티나, 브라질, 파라과이
30일 체류가능한 국가 : 가이아나, 에콰도르(30일 경과 후 추가체류 희망시 90일까지 연장 가능)
 
입국 전 반드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
- 벨리즈 : 여행자들에 따라 비자 fee가 다른데 제 경운, 멕시코와 국경인 체뚜말에서 육로입국 시 $50를 받았는데,
             어떤 사람은 $100를 받기도...이상한 나라..-_-

- 볼리비아 : 국내 볼리비아 대사관이나 주변국인 페루와 에콰도르에서 30일 비자 발급 가능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쁘리띠는 페루의 꼬차밤바에서 받았는데 1시간 소요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대사관에 가면 여권확인 후 광장근처의 은행에서 30달러 입금 후 영수증을 가져오라고 해요.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가져가면 그 영수증을 여권에 붙인 후 복사를 해오라고 하는데, 복사해서 가져가면 끝.

[오세아니아]
90일 체류가능한 국가 : 뉴질랜드
30일 체류가능한 국가 : 피지, 서사모아, 바누아투/뉴칼레도니아

도착비자 국가
파푸아 뉴기니
공항에서 도착비자 60일(약 $40)발급.

입국 전 반드시 비자가 필요한 국가
호주

 - 비자는 여행사를 통하거나 호주 대사관에서 직접 신청, 호주대사관의 비자안내
   http://www.southkorea.embassy.gov.au/seolkorean/Visas_and_Migration.html
 - 비자 수수료  안내
    http://www.southkorea.embassy.gov.au/seolkorean/Fees_Forms.html

[아프리카&중동]
대부분의 나라에서 비자를 필요로 합니다.
아래 안내한 나라와 이외의 국가들은 해외안전여행 -> 국가별안전 정보에서
한번 더 비자필요 여부와 발급방법을 확인하세요.

90일 체류가능한 국가 : 모로코, 라이베리아, 이스라엘
60일 체류가능한 국가 : 레소토
30일 체류가능한 국가 : 튀니지

도착비자 국가
남아프리카공화국, 케냐, 탄자니아, 짐바브웨, 이디오피아, 레바논은 공항에서 1개월 도착비자 즉석발급(수수료 있음)

이집트
도착비자 필요, 공항이나 항구에서 입국수속 전 $15를 내면 30일 비자를 줍니다. 

요르단
국내 주한 요르단명예영사관에서 비자를 미리 받을 수도 있으면 공항에서 도착비자를 받을 수 있어요.
단수 $15, 복수 $30을 내면 30일 비자를 줍니다. 

 
이란
공항에서 입국비자를 받을 수 있는데 2주짜리 $75
보통은 터키의 앙카라에서 이란대사관에 가면 됨. 오전에 가면 오후에, 늦어도 다음날 발급. 30유로